자취방 구하기

자취방 구하기 팁-6. 비용(1)

SSAMJANG 2020. 9. 23. 18:53

* 이 글은 자취 6년차 일반인이 본인의 경험에 따라 작성한 글로 주관적 의견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이제 막 독립을 하는 사회 초년생 또는 대학생들을 위해 완전 세입자 입장에서 작성 되었습니다.

임대사업자 분들을 비난, 비방 하여 불이익을 보게 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미리 말씀 드립니다.

설명에 등장하는 구식, 중식, 현대식이랑 단어는 설명을 돕기위해 구분 지은 단어일 뿐 공식적인 단어가 아닙니다.

설명의 거의 대부분은 1인 가구의 생활 시설을 기반으로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비용]

 

 

 본가를 나와 처음 집을 구하는데 처음 어떤 돈이 들지 생각 한다면 가장 먼저 보증금과 월세를 생각 하게 됩니다.

그러나 생각외로 생각지 못한 지출들이 있습니다.

방을 구하고 그 방으로 인해 나가는 금액들을 나열해 보면 보증금, 월세, 관리비, 주차비, 부동산 소개비, 가스비, 전기세, 수도세, 인터넷 요금 등 지역이나 계약 형태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지출이 없는 비용도 있으나 우선은 전부 포함 하도 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그 금액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증금-

 

 명칭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사전적으로 해석하자면 담보 입니다.

만약 세입자가 월세를 내지 않거나 기물의 파손등이 생긴다면 나가는 비용으로 아무 문제 없다면 계약이 끝나고 해당 집에서 나올때 돌려 받는 금액 입니다.

 월세의 경우 지역에 따라 300~1000만원 또는 그이상의 보증금을 받고 있습니다.

 1인 대학생, 사회 초년생 등이 주로 구하는 방의 기준 입니다.

더 적거나 훨씬 많이 받는 곳도 있으나 주로 보이는 곳은 아니니 참고 해주시길 바랍니다.

 보증금이 2000이상 인데 방이 마음에 들지만 금전이 부족하다 하실때에는 "중소기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라는 대출 상품이 있으니 확인 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이자 연 1.2%)

 이 대출 상품은 월세살이 보다 전세 살이 할때 사용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월세-

 

 매달 한 번씩 내는 실질적 방 이용료 입니다.

대략 30~60 만원 선으로 물론 그 이하도 이상도 있으나 평균치는 이 금액대에 해당 합니다.

 

 

 

-관리비-

 

 관리비도 월세와 같이 매달 지불하게 되는 돈으로 매달 3~15만원 많게는 20만원 까지 받는 곳도 있습니다.

정확한 사용 용도는 알바가 없으나 집안에 전등이나 창문 파손, 보일러 고장 등등 본인 소유가 아닌 시설물에 이상이 있을시 집주인에게 연락하여 손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만 잘 지키지 않는 집주인도 많으며 요구를 하여도 한참동안 뒤에나 조취를 취해 주는 곳도 있습니다. 

 간혹 의견이 분분한 에어컨 청소에 대한 비용 부담 건으로 이야기가 있는데요. 이는 입주시 확인을 바로 하시고 더러울 경우 바로 조취를 취해달라고 요구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본래 계약시 세입자가 입주 하기 전 집주인이 청소를 해주는 것으로 계약이 성사 되는데 가격이 저렴한 업체를 불러 청소를 하거니와 에어컨 청소는 잘 해두지 않기 때문 입니다.

 이는 청소를 해 준다는 약속과 다르기 때문에 곧바로 요구 하시는 것이 좋으며 그렇지 않은경우 여름이 아니더라도 한 달 이상 그 집에서 머물렀다고 하면 살면서 더러워 졌다는 입장을 고수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확인하고 요청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에어컨 청소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마음 좋으신 집주인 분은 입주시 요청을 해두면 세입자 별로 청소가 필요한 집이 있냐고 여쭤보시고 요청한 집은 전부 해주시는 분도 계십니다.

 

 

-주차비-

 

 차량이 있으신 분들에 해당 합니다.

대부분 월 2만원 선으로 책정 됩니다.

 주차비가 없는 곳도 있긴 하지만 기계식 주차 처럼 설비를 제대로 갖춘 곳에서는 주차비 부담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시설은 없고 1층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만들어 두는 곳에서 주차비를 요구 하는 곳이 있는데 방 시설이 좋고 꼭 들어 가야 겠다 싶으시면 주차비를 부담 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